연구과제명 | 극한물성 시스템 기반 의료 융합 측정 기술개발 |
![]() |
소속 | 미래융합기술본부 |
---|---|---|
전화 | 042-868-5859 | |
이메일 | shkim@kriss.re.kr | |
연구분야 | 바이오이미징 |
공동연구자 |
|
---|
연구목표 | ■ 최종목표: 극한물성시스템 기반 의료 융합 측정 기술 개발 본 연구는 극한물성시스템을 바이오 및 의료용 영상 기술과 융합함으로써, 다양한 인간질환 병변의 형상 및 구조적 정보를 고해상도로 영상화하고, 병변 타겟 집중 열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멀티 의료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고자함. - 극한제어 물질을 이용한 초 고집속 초음파 피폭량 제어 시스템 개발 - 극한물성 메타물질 기반 의료 영상 분해능 제어기술의 개발 - 극한물성 기반 초음파 기반 고해상도 진단이미징 및 고효율 치료 일원화 의료시스템 개발 |
---|
연구내용 | ■ 극한제어 물질을 이용한 초 고집속 초음파 피폭량 제어 시스템 개발 - 극한물성 메타물질 기반 고집속 초음파 변환기 제작 - 초음파 피폭량 평가 및 제어 기술 개발 - 집속 초음파 포지셔닝 기술 개발 - 음향 메타물질의 초음파 치료시스템 적용 및 적합화 ■ 극한물성 메타물질 기반 의료 영상 분해능 제어기술 개발 - 메타물질 기반 고분해능 초음파/레이저 구조/분자 융합영상 획득기술 개발 - 생체 내 조직에서의 초음파/레이저 영상분해능 정밀 측정 기술 구현 ■ 극한물성 기반 초음파 기반 고해상도 진단이미징 및 고효율 치료 일원화 의료시스템 개발 - 광대역 초음파 영상 및 미세열치료 영역의 상호위치 동기화 기술 개발 - 고집속 초음파 기반 미세열치료 효율 검증 - 메타물질 기반 초음파시스템 병리학적 유의성 검증 및 실용화 연구 |
---|
기대효과 | ■ 주관기관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제표준기관으로서 IEC 61161, IEC 61162 등의 국제표준방법을 기보유하고 있으므로, 본 과제에서 개발되는 초음파 의료 기술의 표준화된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, 더 나아가 의료융합 측정기술의 보급 및 표준화에 활용될 수 있음. ■ 고분해능 생체 내 초음파-레이저 융합영상기술은 비침습적, 비접촉식 영상획득과 단일세포분해능, 단일세포감도를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의료진단장비로의 발전이 가능함. 기존의 초음파 단일영상 기술의 한계인 상대적 저분해능, X-Ray/CT 기술의 방사능조사에 의한 생체 침습성 및 발암위험, MRI 기술의 높은 가격의 단점을 극복한 광학기반 의료장비산업의 육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. |
---|
번호 | 제목 | 년도 | 단계 |
---|---|---|---|
1 | In vivo longitudinal cellular imaging of small intestine by side-view endomicroscopy | 201510 | 1단계 2차년도 |
번호 | 산업재산권명 | 출원/등록 국가 | 년도 | 단계 |
---|---|---|---|---|
4 | 2종의 산란재를 이용한 온도변화조절이 가능한 무반향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| 1 | 20160527 | 1단계 2차년도 |
3 | 집속초음파용 초음파 팬텀, 그 초음파 팬텀의 제조방법, 생체조직 모방 하이드로겔 팬텀, 그 제조방법 및 그 팬텀을 이용한 변색방법 및 약물전달방법 | 1 | 20160517 | 1단계 2차년도 |
2 | 프레넬 존 플레이트 원리를 이용한 음향렌즈가 적용된 초음파 집속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그 트랜스 듀서의 제작방법 | 1 | 20160427 | 1단계 2차년도 |
1 | Phantom for Measuring Thickness of Thin Layer Using Ultrasonic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reof | 2 | 20141105 | 1단계 1차년도 |